본문 바로가기
내집마련 준비하자

청약통장 25만 원 납입하면 생기는 일 – 더 유리해질까요? 💰

by 리엔떼 2025. 4. 19.

청약통장 25만 원

“청약통장에 매달 25만 원씩 넣고 있는데, 나중에 가점 많이 올라가나요?”
저도 그랬어요.


은행 직원이 “금액은 많을수록 좋다”고 해서
그 말만 믿고 매달 25만 원씩 꾸준히 넣었거든요.

 

그런데 나중에 알고 보니…
가점에는 전혀 영향이 없다는 사실! 😱


그래도 납입 금액이 전혀 쓸모가 없는 건 아니에요.
청약 유형에 따라 금액이 중요한 경우도 있고, 횟수가 중요한 경우도 있으니까요!

지금부터 청약통장 25만 원 납입의 진실, 정확하게 알려드릴게요!

 


✅ 청약통장 납입 기준 – 금액보다 ‘횟수’가 핵심!

청약통장 납입과 관련된 핵심 개념은 다음과 같아요.

중요 기준 납입 '횟수' 예치 '금액'
인정 방식 월 1회, 2만 원 이상 납입만 인정 지역별 예치금 충족 시 인정
가점 반영 여부 횟수 기준으로 반영 (최대 17점) 가점 없음 (추첨제 또는 예치 기준 충족만 확인)

청약통장 25만 원


🏠 공공분양: 월 25만 원씩 넣어도 ‘1회’만 인정

  • 공공분양은 **납입금액이 아닌 ‘납입횟수’**가 중요합니다.
  • 매달 2만 원을 넣든 25만 원을 넣든, 그 달은 1회만 인정돼요.
  • 즉, 가점을 올리고 싶다면 매달 1회씩 꾸준히 납입하는 게 정답!

✅ 공공분양 1순위 조건:

  • 가입기간 2년 이상
  • 납입횟수 24회 이상
  • 무주택 세대주
  • 해당 지역 거주자

청약통장 25만 원


🏢 민영분양: ‘예치금’ 기준만 충족하면 금액 OK!

  • 민영은 가점이 아닌 예치금 기준 충족 여부만 따져요.
  • 예치금은 지역별로 다르며, 예를 들어: ( 85㎡ 이하 / 85㎡ 초과)
지역전용 

 

서울 300만 원 600만 원
경기·부산 200만 원 300만 원
기타 지역 200만 원 250만 원

✅ 민영 분양 1순위 조건:

  • 청약통장 가입 2년 이상
  • 지역별 예치금 기준 충족
  • 세대주, 세대원 모두 신청 가능

📌 이 경우에는 25만 원씩 몇 달 납입해서 예치금만 채우면 바로 1순위 가능해요!

청약통장 25만 원


💡 납입 금액 25만 원, 이렇게 활용하세요!

① 공공분양 준비 중이라면?
👉 25만 원보다 월 2만 원씩 꾸준히 납입하는 게 훨씬 유리
👉 가점은 ‘횟수’로 계산되기 때문이에요!

 

② 민영분양 노린다면?
👉 예치금 300만 원 넘기면 그다음부턴 의미 없음!
👉 오히려 납입 중단해도 예치금만 유지되면 1순위

 

③ 금액은 높지만 납입횟수 부족?
👉 공공분양에서는 불리해요.
👉 예: 1년에 240만 원 몰아서 넣은 사람 vs 2년간 매달 2만 원씩 낸 사람 → 후자가 1순위

청약통장 25만 원 청약통장 25만 원


✨ 마무리하며 – ‘금액’이 아닌 ‘전략’이 필요해요

청약통장에 25만 원씩 넣는 건
나름대로 좋은 습관이지만,


공공분양에서는 가점에 전혀 반영되지 않는다는 걸 꼭 기억하세요.

 

💡 핵심 정리:

  • 공공 = 횟수가 중요 (매달 1회, 24회 이상)
  • 민영 = 금액이 중요 (예치금만 채우면 OK)

지금이라도 납입 패턴을 전략적으로 조정해보세요.
청약은 결국 '조건 싸움'이자 '타이밍 싸움'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