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돌싱 연애 결혼

결혼 예물 예단절차 및 방법 – 어렵지 않게 정리해드립니다 💍

by 러브엔워 2025. 4. 15.

결혼 예물 예단절차 및 방법

"예물은 언제 준비해야 해?"
"예단은 꼭 해야 해?"


저도 결혼을 준비하면서 정말 많이 했던 질문이에요.
어떤 건 해야 하고, 어떤 건 생략 가능한지도 헷갈리고,
혹시 실례라도 될까 봐 더 조심스러웠죠.

 

특히 시부모님, 친정어머니, 친구들마다 말이 다 달라서
혼란만 더 커지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결혼 예물과 예단의 차이부터 준비 시기, 절차, 예단비 금액 등
꼭 알아야 할 내용을 한번에 정리해드릴게요.


요즘 트렌드도 함께 알려드릴 테니 참고해보세요 😊


💡 예물 vs 예단, 뭐가 다를까? (예물/예단)

의미 신랑–신부가 서로 주고받는 결혼 선물 신부 측이 시댁에 전달하는 감사의 예
주체 신랑→신부 (보통 귀금속), 신부→신랑 (시계, 양복 등) 신부가 시댁에 준비 (한복, 예단비, 예단함 등)
목적 부부 간의 기념, 애정 표현 시댁에 대한 존중과 예의 표현

예물은 부부 간의 선물
예단은 시댁에 드리는 예라고 기억하시면 돼요!

결혼 예물 예단절차 및 방법


📌 예물 준비 방법 & 절차

1. 예물 상담 및 예산 정하기 (결혼 4~5개월 전)

신랑 신부의 예산을 정한 뒤, 귀금속, 시계, 커플링 등 구성을 선택합니다.
보통 백화점, 브랜드샵, 종로 귀금속 거리 등에서 상담을 받아요.

👉 요즘 평균 예물 예산은 약 500~1,000만 원
단, 커플링만 준비하는 커플도 많아요 (최소 100~300만 원대)

2. 예물 품목 구성하기

  • 신부용: 다이아 반지, 진주 세트, 금목걸이, 팔찌
  • 신랑용: 명품 시계, 넥타이핀, 양복, 구두
  • 커플: 커플링, 한복, 기념사진 등

✔ 요즘은 실용성을 고려해 고가 예물보단 실사용 위주로 구성하는 추세예요!

결혼 예물 예단절차 및 방법


📌 예단 절차 및 준비 순서

1. 예단 준비 시기 (결혼 2~3개월 전)

보통 신부 쪽에서 결혼식 1~2개월 전에 예단품 + 예단비를 준비해서 시댁에 전달해요.
※ 예단을 생략하거나 간소화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어요!

2. 예단 구성품

  • 예단비: 시부모님께 드리는 현금 (보통 300만~1,000만 원대)
  • 예단함: 한복, 수건, 반상기, 침구류, 속옷 세트 등
  • 예서/예장: 정성스레 작성한 손 편지와 예단의 취지를 적은 문구

✔ 전통 예단은 한복 보자기에 싸서 함으로 보내며,
✔ 요즘은 ‘예단 간소화’로 현금 + 감사 편지 + 수건 세트만 준비하기도 해요.

결혼 예물 예단절차 및 방법


💸 예물·예단 비용은 얼마나 드나?

예물 (양쪽 합산) 500만~1,000만 원
예단비 300만~700만 원
예단함 50만~200만 원
한복 100만~200만 원
기타 예장지, 포장비 등 소소한 비용 발생

※ 지역, 가족 문화, 형제 수 등에 따라 유동적이에요!

결혼 예물 예단절차 및 방법결혼 예물 예단절차 및 방법


💬 전통은 존중하되, 내 방식대로 준비해도 괜찮아요 😊

예물과 예단은 의무가 아니라, 감사의 표현이에요.
상대 가족에 대한 존중, 그리고 서로를 위한 배려가 중심이지,
금액이나 화려함이 중요한 게 아니에요.

 

요즘은 간소화된 예단, 실용적인 예물을 준비하는 커플도 많고,
아예 ‘서로 생략하고 집 마련이나 신혼여행에 집중하자’는 커플도 많아졌어요.

 

중요한 건, 서로의 가족과 충분히 대화하고, 부담되지 않게 조율하는 것!
내 결혼식이니까, ‘우리 스타일’로 준비해도 충분히 예쁘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