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집마련 준비하자

청약통장 소득공제 – 내 집도 준비하고, 세금도 돌려받자! 💸

by 리엔떼 2025. 4. 21.

청약통장 소득공제

“청약통장에 넣은 돈도 소득공제되나요?”


저도 한참 동안 그냥 납입만 하다가,
연말정산에서 최대 96만 원까지 돌려받을 수 있다는 사실
뒤늦게 알고 깜짝 놀랐어요!

 

그렇습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은 소득공제 혜택이 있는 ‘절세통장’이에요.


단, 몇 가지 조건이 있고, 이걸 충족해야만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그럼 지금부터 하나씩 알려드릴게요 ✅

 

 

 


✅ 청약통장 소득공제 대상은?

주택청약종합저축에 가입했더라도,
아래 조건에 해당되어야 소득공제 가능!

근로자 총급여 7천만 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 본인 + 배우자 모두 주택 없어야 함
청약통장 가입자 주택청약종합저축에 가입했을 것
청약용 저축금 납입 공제 한도 내에서 불입했을 것

📌 ‘청약예금’, ‘청약부금’, ‘청약저축’은 공제 대상이 아닙니다!
👉 오직 주택청약종합저축만 해당

청약통장 소득공제청약통장 소득공제


💰 얼마나 돌려받을 수 있나요?

  • 연간 납입한 금액 중 최대 240만 원까지 소득공제 가능
  • 그 240만 원의 40%까지 세금공제 = 최대 96만 원 혜택

예)
월 20만 원 × 12개월 = 240만 원 납입
👉 240만 원 × 40% = 96만 원 소득공제

실제 환급액은 개인 소득세율에 따라 20만~40만 원대 환급 가능!

청약통장 소득공제


📋 신청 방법은?

국세청 홈택스 또는 회사 연말정산 시스템에서 자동 반영되도록
은행이 ‘납입증명서’를 매년 1월 국세청에 제출해요.

 

진행 순서:

  1. [홈택스] →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2. [소득공제 항목] → 주택청약종합저축 선택
  3. 자동으로 납입 내역 확인 가능
  4. 출력해서 회사 제출 또는 파일 업로드

✅ 안 보일 경우?
👉 청약통장 만든 은행 앱 or 지점에서 직접 [납입증명서] 발급 가능

청약통장 소득공제


📱 은행 앱에서 납입증명서 발급 방법 예시

국민은행 (KB스타뱅킹)

  • 전체메뉴 → 청약 → 증명서 발급 → 주택청약종합저축 납입증명서

농협 (NH스마트뱅킹)

  • 청약 메뉴 → 연말정산 서류 발급

신한, 우리, 기업, 하나은행 등도 유사한 경로로 발급 가능

청약통장 소득공제


⚠️ 주의사항 꼭 확인!

세대주 여부 연말 기준 ‘무주택 세대주’만 가능
무주택 조건 본인 및 배우자 모두 주택 없어야
중도 해지 해지하면 소득공제 받은 금액 추징될 수 있음
2개 통장 청약통장은 1인 1계좌만 인정됨

📌 특히 중도해지 시에는 소득공제 혜택 환수 대상이 될 수 있으니 조심!

청약통장 소득공제


🎯 소득공제 받고 싶은 분이라면 이렇게!

✔️ 무주택 세대주로 전환
✔️ 연 240만 원 한도 내에서 자동이체 설정
✔️ 연말정산 기간에 납입증명서 제출 잊지 않기!

청약통장 소득공제


✨ 마무리하며 – 청약통장은 절세와 내 집 마련, 두 마리 토끼를 잡는 통장

청약통장은 그냥 집 살 기회만 주는 게 아니에요.
조건만 맞으면 ‘매년 수십만 원의 세금 환급까지’ 해주는 혜택통장이랍니다!

 

📌 무주택 세대주이신가요?
📌 연봉이 7천만 원 이하인가요?
그렇다면 이 혜택, 꼭 챙기셔야 해요 😊